안녕하세요. 블로그 꼴찌닷컴의 꿈꾸는 꼴찌입니다.
지난 토요일 홍대 인근에 위치한 16개의 공간에서는 총 70여팀의 음악인들과 소비자들이 함께 만들어 나가는 의미 있는 세 번째 축제 유데이 페스티벌이 열렸습니다.
먼저 유데이 페스티벌의 유래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다음글은 유데이 페스티벌의 공식사이트(www.udayfest.org)에서 옮겨왔음을 알려드립니다.
유데이페스티벌은 2011년 봄 월드 디제이 페스티벌의 공모팀의 연쇄적인 보이콧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월드 디제이 페스티벌에서 공연 참가팀을 공모를 통해 선정하고, 사후에 노개런티 출연조건을 발표한 주최측에 대한 반발로 연쇄적인 공모선정팀의 보이콧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뮤지션들의 보이콧 선언의 이유가 SNS를 통해 급속히 퍼져나갔으며, 이는 뮤지션들의 다른 음악 행사에서의 부당한 관례와 대우에 대한 폭로로 이어졌으며, 음악산업내의 부당한 현실에 대한 음악가들의 권리 의식 선언이 음악 소비자들과의 지지를 통해 이루어진 셈이 되었습니다. 이 문제의식은 몇몇 보이콧 참여 뮤지션들과 동료 뮤지션들, 라이브 클럽 관계자, 음악 기획자, 소비자들이 모여 음악산업 전반에 만연된 불합리한 현실을 개선하고, 공정한 경쟁과 산업관계에 대한 모색을 하는 취지의 행사를 함께 만들기 위해 유데이페스티벌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음악산업의 페어플레이를 꿈꾸며" 란 슬로건을 내걸고 뮤지션 109팀(400여명)과 13개의 음악공간, 30여명의 자원활동가, 1028명의 유료관객이 2011년 6월18일 제1회 유데이페스티벌을 만들어 냈습니다.
유데이페스티벌의 Day는 주기적인 기념일을 의미합니다. 1886년 8시간 노동제를 외치며 파업을 단행하며 시위를 했던 미국의 시카고 노동자들의 희생을 기념하여 만들어진 May Day(노동절)가 100년을 넘게 전세계 노동자들의 권리를 생각하고 지키는 노동자들의 축제일이 된 것처럼, 당신의 권리가 곧 나의 권리로 하나가 되고, 뮤지션과 소비적인 보편적인 가치로 하나가 되는 날로 태어날 때 더욱 가치있게 기억되리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주기적인 행사의 주최를 통해 음악산업에 대한 현재적 문제의식을 담고자한 것입니다.
(위 이미지와 글 역시 유데이 페스티벌의 공식 사이트에서 가져왔음을 알려드립니다.)
이처럼 음악산업 전반에 놓여진 불합리한 현실을 개선하고, 공정한 경쟁과 산업관계에 대한 모색을 하는 취지를 위해 노력하는 유데이 페스티벌 준비위원회는 최근 문화체육관광부가 최종 승인한 음악 전송 사용료 징수규정에 반발하여 제 3회 유데이 페스티벌의 슬로건을 다음과 같이 내걸었습니다.
“음악산업의 페어플레이를 위하여, 음원의 무제한 월정액 서비스를 반대합니다.”
뿐만 아니라 많은 음악인들이 함께 목소리를 내어 음원정액제의 폐지를 위한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는데요, 이처럼 많은 음악인들이 무제한 월정액 서비스를 반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여기서 정액제를 짚고 넘어가 봅시다. 정액제는 서비스의 이용량에 관계 없이 일정 금액을 부과하는 방식입니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을 예로 들어보자면, 사용시간보다는 매월 얼마씩 내는 식으로 요금을 정산하는 것을 정액제라고 합니다.
음원정액제란 멜론, 소리바다, 벅스뮤직 등과 같은 음원사이트를 통해서 디지털 음원을 구매하는 방식인데 가령
월 3000원으로 무제한 듣기
월 5000원으로 MP3 40여곡 다운로드
월 9000원으로 MP3 150여곡 다운로드
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월 9000원으로 150곡을 다운로드 할 경우 9000원/150곡=60원(곡당)이 작곡가에게 돌아가는 총매출이고 여기서 분배비율에 따라 나눠가집니다. 한마디로 곡당 800원을 주고 다운받아도 40원도 못 가져는 시스템인데요, 전곡을 한달에 3000원씩 내고 듣는다면 과연 창작자의 입장에서는 무엇이 남을까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싼 가격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듣고 소장할 수 있으니 좋다고 말할 수 있겠지만 제작자들의 입장에서는 너무나도 불공평한 일이 아닌가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음원정액제가 무조건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과연 공정한 일인가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음원정액제 폐지요구가 단순히 음원의 소비자 단가를 높이자는 의미일까요? 꼭 그런 것만도 아닐 것입니다. ‘무제한’ 대신 ‘종량제’ 등의 다른 대안을 모색하고 불합리한 분배율을 조정하여 모든 음악인에게 노력한 만큼의 대가를 돌려주는 방법을 찾아볼 수도 있으니까 말입니다.